서울에 도착한 봄꽃 소식
- 환경 / 왕보현 기자 / 2020-03-06 22:22:27
-서울에서 가장 봄소식 전하는 ‘서울로7017’ -
-코로나19로 지친 도심에 핀 봄꽃-
-활짝 핀 봄꽃 보며 힘 얻는 시민들-
-‘사회적 거리 두기’ 지키며 면역력 키우는 산책-
거의 매일 점심시간을 이용해 서울로7017을 산책한다는 이미경(42, 중구 회현동)씨는 "나는 개나리가 활짝 핀 줄 알았는데 이름표를 보고 장수만리화라는 것을 알았다"며 핸드폰을 꺼내 꽃사진을 찍었다.
서울역을 중심으로 서울의 동쪽 남대문시장과 서쪽 만리동을 잇는 서울로 7017에는 봄을 맞아들인다는 의미의 노란색 영춘화(迎春花)를 시작으로 산수유, 홍매, 풍년화, 히어리 등 봄꽃이 하루가 다르게 피어나고 있다.
점심식사를 마치고 산보에 나선 직장인들과 간간이 지나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코로나 확산방지를 위해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하며, 마스크를 착용하고 활짝 핀 봄꽃을 여유롭게 즐기고 있다. 유난히 따스했던 지난겨울 덕인지 아직은 조금 이른 듯한데 어느새 꽃망울을 힘차게 터트려 코로나19 확산 공포로 웃음을 잃어버린 시민들에게 작은 위안을 선사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지친 도심에 핀 봄꽃-
-활짝 핀 봄꽃 보며 힘 얻는 시민들-
-‘사회적 거리 두기’ 지키며 면역력 키우는 산책-
서울역고가도로공원인 ‘서울로7017’에는 시계는 멈춰도 계절은 온다며 여기저기서 봄꽃들이 꽃망울을 터뜨렸다. 개나리와 그 생김이 비슷한 장수만리화는 갑작스럽게 떨어진 수은주와는 아무상관 없다는 듯 노란 꽃을 흐드러지게 피어냈다. 산골짝 개울둑에 자생하는 물푸레나무과의 장수만리화는 한국 특산종으로 황해도 장수산에 분포한다.
![]() |
▲ 영춘화 迎春花Jasminum nudiflorum 중국 원산이며 중부 이남에서는 관상용으로 심는다. 봄을 맞아드린다는 꽃이름처럼 봄에처음피는 꽃이다. 개나리의 꽃잎이 4장인데 영춘화는 6장으로 만개하면 훨씬 화사하다. 과거 급제자에게 임금이 내린꽃인 어사화로 사용되기도 했다. |
거의 매일 점심시간을 이용해 서울로7017을 산책한다는 이미경(42, 중구 회현동)씨는 "나는 개나리가 활짝 핀 줄 알았는데 이름표를 보고 장수만리화라는 것을 알았다"며 핸드폰을 꺼내 꽃사진을 찍었다.
![]() |
▲ 장미과의 홍매는 원예품종으로 개량된 식물로 전국 각지에 분포해 봄소식을 전한다. |
![]() |
▲ 송광납판화라고 부르기도 하는 히어리는 지리산 일대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서울로 7017 서부역 부근에서 봄소식을 전하고 있다. |
![]() |
▲ 산수유나무는 한국·중국 등이 원산으로, 한국의 중부 이남에서 심는다. 국내에서는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일원, 경상북도 의성군 등에서 특산품으로 매년 출하하고 있다. |
노란 꽃망울을 활짝 터트린 산수유를 한참이나 쳐다보던 김삼규(57, 중구 중림동) 씨는 “매일 이곳을 산책하는데 파란하늘아래 노란 꽃이 눈부시다. 멀리 남쪽지방까지 가지 않았는데 어느새 집 앞에 봄이 왔다”며 “봄꽃들이 활짝 피어나면 이땅에서 코로나19 공포가 사라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 풍년화 Hamamelis japonica Siebold & Zucc 일본 원산으로 중부 이남에서 심어 기르는 낙엽 떨기나무로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피며 노란색이다. |
시민 휴식공간으로 재탄생한 서울로 7017에는 645개의 원형화분에 총 228종의 24,085주의 다양한 수목이 자라는 아름다운 공중정원이다
[코리아 투어 프레스=왕보현 기자]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