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국제감축 사업 확대... 67억 원 규모

환경 / 왕보현 기자 / 2025-03-24 20:06:20
- 환경공단, 2025년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설명회

[티티씨뉴스=글·사진 왕보현 기자]

환경부가 67억 원 규모의 ‘2025년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 

▲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24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2025 환경분야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설명회를 갖고 환경오염 방지 및 환경개선, 자원순환, 폐기물, 물관리 등 환경 분야 전반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수행할 기업을 선정하는 절차를 비롯해 선정된 기업에 제공될 온실가스 감축설비 설치 및 타당성 조사 사업 비용(총 67억 원) 등을 설명했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24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2025 환경분야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설명회를 갖고 환경오염 방지 및 환경개선, 자원순환, 폐기물, 물관리 등 환경 분야 전반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수행할 기업을 선정하는 절차를 비롯해 선정된 기업에 제공될 온실가스 감축설비 설치 및 타당성 조사 사업 비용(총 67억 원) 등을 설명했다.
▲ 한국환경공던 하정원 글로벌협력처장이 개회사를 통해 "환경부와 공단에서는 22년도부터 국제 감축 공모 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으며 주된 목적이 온실가스 국제 감축의 타당성이 있는 신규 사업을 개발 선정에서 국내 기업의 해외 사업 개발은 물론 우리나라의 감축 목표 달성도 확대에 기여하고있디"고 밝혔다.

이날 설명회에는 환경부와 환경공단, 수자원공사(K-water),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 공공기관과 관련 기업 온실감축 관계자 등 100명이 참석했다.

온실가스 감축설비 설치 사업의 경우 1건당 최대 42억 원까지 지원될 예정이며, 타당성 조사 사업은 예비 타당성 조사의 경우 1건당 3억 원, 본 타당성 조사의 경우 1건당 5억 원 한도 내에서 지원받는다.
▲ 환경부 국제개발협력팀 이서현 과장이 2025 환경분야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정책 방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사전검토 및 서류평가, 평가위원의 심의를 거쳐 6월 초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정부 지원금을 집행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그간 국제사회에 온실가스감축사업을 위한 국가간 협약을 통해 3건의 지원사업을 진행 중이다.

사업분야는 매틴가스 발전, 농업부산물 연료화, 정수 시스템, 물 관리, 소수력 사업등 이다.

이번 추진할 사업은 한국환경공단과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한국수자원공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긴밀하게 협업하게 된다.

공모 접수마감은 4월 18일 17시까지다. 선정결과는 5월말까지 업무협약체결은 6월 둘째 주에 이뤄질 예정이다.

한국환경공단 글로벌협력처 하정원 처장은 “2025년도 국내 우수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에 참여할 기업들이 많은 공모 지원을 바란다.”면서 “국제 진출을 위해서는 한국형 환경건전성 기준에 맞춰 국제 정합성 확보, 감축활동 신뢰기반, 상대국 환경 지속가능성 보장을 가장 높게 본다.”고 말했다.

 


하 처장은 “2030년까지 3750만 톤을 국제 감축을 해야 되는데 5년밖에 안 남았다.”면서 “올해 공모 사업은 감축 효과가 큰 사업을 발굴하는 게 주목표”라고 거듭 강조했다.


환경부 국제개발협력팀 최영선 사무관은 “올해는 타당성 조사 비용을 증액했다.”면서 “정부 차원에서 일단 큰 사업을 발굴할 제도 지원과 동시에 제일 중요한 실질적인 감축 실적이 이전되기 위해서는 사업 유치국들이 기본적인 인프라나 역량들이 필요해 한국형 레디니스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발전하도록 지원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환경부는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통해 확보한 감축실적을 우리나라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활용할 수 있도록 2023년부터 환경 분야의 온실가스 국제감축 지원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정은해 환경부 국제협력관은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이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돕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기여하는 한편, 기후·환경 분야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밝혔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