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리빌딩과 팀랩, 독특한 디지털 아트 뮤지엄 공동 개장

사회 / 김규범 / 2018-06-21 14:34:56
모리 빌딩 디지털 아트 뮤지엄: 팀랩 보더리스, 방문객들이 정해진 순서에 구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구경할 수 있는 경계 없는 세계 선보여

도시건축 개발회사인 모리빌딩(Mori Building)과 디지털 아트 예술가 집단인 팀랩(teamLab)이 완전히 새로운 컨셉의 디지털 미술박물관인 ‘모리 빌딩 디지털 아트 뮤지엄: 팀랩 보더리스(MORI Building DIGITAL ART MUSEUM: teamLab Borderless)’를 21일 개장했다고 발표했다.

이 새로운 디지털 미술박물관은 5개 구역으로 나뉘어진 1만평방미터 넓이의 공간에 50개에 달하는 인터랙티브 미술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이들 인터랙티브 미술작품은 작품 간에 분명한 경계가 없다는 점이 특징이기도 하다. 일부 작품은 전시실을 벗어나 복도에까지 연결되고 어떤 것은 다른 작품과 혼재하며 또 어떤 것은 다른 작품과 자연스럽게 합쳐져 있기까지 하다. 작품들 간에 경계가 없는 까닭에 방문객은 다른 방문객들과의 경계까지 허물고 서로 간에 혼재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방문객은 작품 속에 실제로 발을 들여놓고 다른 방문객들과 자연스럽게 교류를 할 기회도 갖는다. 그런 결과로 이들은 다른 박물관에서는 도저히 경험할 수 없었던 인터랙티브 디지털 아트 경험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모리빌딩과 팀랩은 도쿄 방문자들이 독특한 문화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럼으로써 2020년 이후까지 이 도시가 전세계 관광중심이 될 수 있게끔 돕는다는 계획이다.

모리 빌딩 디지털 아트 뮤지엄: 팀랩 보더리스(1만평방미터, 5개 구역)

1. 보더리스 월드(Borderless World)

사람들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등 자신들의 신체를 통해서 세계를 이해하고 인지한다. 그런 결과 우리의 신체는 자체적인 시간 개념을 갖고 있다. 그런 한편 인간의 마음 속에서 각기 다른 생각 사이에는 분명한 경계가 모호하며 이들 생각 간에는 서로 영향을 미치고 때로는 서로 간에 합쳐지는 경우도 있다.

팀랩 보더리스는 하나의 경계 없는 세계를 만드는 미술작품의 컬렉션이다. 미술작품 컬렉션은 전시실을 자유롭게 벗어나고 다른 사람들과 마음대로 연계와 관계를 맺으며 다른 작품들과 의사소통을 하며 때로 서로 영향을 미치고 다른 작품과 합쳐지기도 한다. 또 그러면서 이들 작품은 인간의 신체와 동일한 시간 개념을 갖게 된다.

이런 식으로 사람들은 미술작품 컬렉션 속에서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잃게 된다. 이들 경계가 없는 작품들은 사람들이 이 속에 참여함에 따라 자신들의 모습을 변화시키고 사람들이 이 통합된 세계에 몰입하고 혼입됨에 따라 사람들 속에서 일정한 연속성을 경험하고 사람들과 세계 사이의 경계를 초월하는 새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된다.

2. 팀랩 애슬레틱스 포레스트(teamLab Athletics Forest)

팀랩의 애슬레틱스 포레스트는 새로운 “창조적 물적 공간”으로서 여기서 대뇌의 해마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공간지각 능력을 훈련할 수 있다. 이는 신체를 통해 세계를 이해하고 세계를 3차원 공간으로 이해한다는 개념에 근거한 것이다. 이 복잡하고 때로 걸어 다니기 힘든 이 3차원 공간에서 자신의 신체를 인터랙티브 세계에 침잠해 보도록 하자.

3. 퓨처 파크(Future Park)

이곳은 학습하고 놀이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공간이다. 퓨처 파크는 공동창조(협업적 창조)를 위한 실험적 공간으로서 교육적 목적을 갖고 있다.

4. 램프 포레스트(Forest of Lamps)

방문객이 램프에 가까이 서 있을 경우 이 램프는 밝게 빛나면서 멀리까지 퍼져나가는 색깔을 퍼뜨린다. 램프의 빛은 출발점이 되며 이는 가까이에 자리잡은 두 개의 램프로 퍼져나간다. 가까이에 있는 두 개의 램프에서 발하는 빛은 다시 같은 색깔의 빛을 다른 램프로 전달하고 이를 계속해서 반복해나간다. 램프에서 전달되는 빛은 한 차례 밝게 빛나고 다른 가까운 램프로 전달되며 모든 램프가 그런 식으로 한 번 밝게 빛난 다음에 최초의 램프로 빛이 되돌아 간다. 램프의 빛은 사람들과의 인터랙션에 따라 달려져서 두 개로 나뉘어지고 모든 램프가 하나의 광선을 형성하며 나중에는 출발점이 됐던 최초의 램프로 되돌아가게 된다.

5. 엔 티 하우스(En Tea House)

차를 준비하면 찻잔 속에서 꽃이 만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찻잔 속에 차가 남아 있는 한 꽃은 끝이 없이 만발한다. 찻잔 속의 차는 꽃이 무한히 피어나는 무한의 세계가 되는 것이다. 한없이 커지는 세상 속에서 차를 마셔보자.
운영책임자들의 메시지

츠지 신고(Shingo Tsuji), 모리빌딩 CEO 겸 대표

도쿄는 전세계로부터 사람과 상품, 자본, 정보를 끊임없이 끌어들이는 자력(磁力)을 계속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모리빌딩의 연구기관인 모리기념재단(Mori Memorial Foundation)에서 최근에 발표한 글로벌 파워시티 지수(Global Power City Index)에 따르면 도쿄는 경제, 환경, 거주적합성 등 측면에서는 매우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예술과 문화 인터랙션 분야에서는 그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리빌딩의 도시개발 이니셔티브는 다양한 도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우리 회사 최초의 도심 문화개발 사업이었던 아크 힐스(ARK Hills) 소재 산토리 홀(Suntory Hall)은 1986년 개장 이래로 숱하게 많은 문화행사를 개최했다. 현대미술 발전을 위한 우리 회사의 노력은 모리미술관(Mori Art Museum)의 설립이라는 형태로 구체화되기도 했다. 현대미술은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현재 시대를 반영하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지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믿고 있다. 이제 우리는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 덕택으로 디지털 아트를 갖게 됐다.

모리빌딩은 도시 개발 이니셔티브에서 교육기회 확대에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모리빌딩은 주로 롯폰기 힐즈 지역에서 매년 어린이 워크숍 등의 형태로 2만 명에 달하는 어린이들에게 미술과 학습 기회를 제공해왔다. 어린이들은 실제 세계에서 보다 활동적이고 고차원적인 학습을 필요로 함에도 우리의 교육은 교실 내에서 수동적이고 2차원적 교육만 제공해왔다. 어린이들이 우리 디지털 아트 세계를 마음껏 뛰어다니면서 보다 고차원적인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기를 바란다.

도쿄가 2020년과 그 이후를 바라보는 이 시점에서 팀랩과 모리빌딩이 공동으로 만들어낸 세계 유일의 이 디지털 아트 박물관에서 모든 사람들이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