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속도 도입 지자체에 217억원 지원
- 정부 / 왕보현 기자 / 2020-05-31 23:42:26
- 안전속도 도입으로 사고 건수 13.3%, 사망자 수 63.6% 감소
- 속도하향정책 국민적 공감대 향상 위한 UCC 공모전(6.1~6.20)도 추진
안전속도 5030은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도심부의 차량속도를 일반도로는 시속 50km로, 주택가 등 이면도로는 30km 이하로 하향 조정하는 정책이며, 행안부를 비롯한 국토부, 경찰청 등 12개 기관이 참여하는 ‘안전속도 5030 협의회’를 중심으로 범정부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2019년 4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2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21년 4월 17일부터는 전국 도심부의 일반도로 차량속도가 기존 ‘시속 60km 이내’에서 ‘시속 50km 이내’로 낮아지며, 정부에서는 지자체와 협력하여 연내 정착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행안부에서는 유예기간 동안 지자체별로 교통안전시설을 차질 없이 정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모든 일반도로의 차량 속도를 낮춘 부산광역시에 20억 원을 지원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 초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전라남도 등 3개 시·도에 86억 원을 지원하였다.
이번에는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등 속도 하향계획 협의가 마무리된 나머지 12개 시·도에 잔여 예산 217억 원을 지원한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자체 예산으로 시설개선사업을 완료했다.
아울러, 속도하향 정책에 대한 국민 공감대형성을 위해 관계기관 협업으로 교통안전 캠페인 송을 제작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 등에서 지속적으로 송출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제작한 미스터트롯 김수찬이 부르는 ‘안전속도 5030 캠페인 송’을 공공청사, 대중교통시설, 옥외전광판, 편의점 계산대 등을 통해 송출하고, 대국민 참여 이벤트*를 개최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한편, 안전속도 5030 도입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 효과는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경찰청에서 안전속도 5030을 도입한 전국 68개 구간을 대상으로 시행 전과 후 교통사고 감소 효과분석 결과, 전체 사고 건수는 13.3%, 사망자 수는 6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주행 실증조사에 따르면 차량 속도를 기존 시속 60km에서 50km로 낮추더라도 통행시간은 2분만 증가했고, 부산시의 택시요금 실증조사에서는 요금 106원 증가하는 것에 불과해 교통정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 관계자는 “안전속도 5030은 사람 중심의 도시와 교통체계로 가는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며, “속도하향 정책이 실제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속도하향정책 국민적 공감대 향상 위한 UCC 공모전(6.1~6.20)도 추진
![]() |
▲ |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정부는 안전속도 5030’ 도입을 위해 전국 140개 지자체 시설개선사업에 217억 원을 지원한다. 국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교통안전 캠페인송 UCC 공모전을 추진한다
![]() |
▲ 속도관리구역내 교통안전시설 설치 예시도(그림=국토교통부 제공) |
안전속도 5030은 교통사고 감소를 위해 도심부의 차량속도를 일반도로는 시속 50km로, 주택가 등 이면도로는 30km 이하로 하향 조정하는 정책이며, 행안부를 비롯한 국토부, 경찰청 등 12개 기관이 참여하는 ‘안전속도 5030 협의회’를 중심으로 범정부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 |
▲ |
2019년 4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2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21년 4월 17일부터는 전국 도심부의 일반도로 차량속도가 기존 ‘시속 60km 이내’에서 ‘시속 50km 이내’로 낮아지며, 정부에서는 지자체와 협력하여 연내 정착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행안부에서는 유예기간 동안 지자체별로 교통안전시설을 차질 없이 정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왔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모든 일반도로의 차량 속도를 낮춘 부산광역시에 20억 원을 지원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 초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전라남도 등 3개 시·도에 86억 원을 지원하였다.
이번에는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 등 속도 하향계획 협의가 마무리된 나머지 12개 시·도에 잔여 예산 217억 원을 지원한다. 세종특별자치시는 자체 예산으로 시설개선사업을 완료했다.
아울러, 속도하향 정책에 대한 국민 공감대형성을 위해 관계기관 협업으로 교통안전 캠페인 송을 제작하여 유동인구가 많은 공공장소 등에서 지속적으로 송출한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제작한 미스터트롯 김수찬이 부르는 ‘안전속도 5030 캠페인 송’을 공공청사, 대중교통시설, 옥외전광판, 편의점 계산대 등을 통해 송출하고, 대국민 참여 이벤트*를 개최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 |
▲ |
한편, 안전속도 5030 도입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 효과는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경찰청에서 안전속도 5030을 도입한 전국 68개 구간을 대상으로 시행 전과 후 교통사고 감소 효과분석 결과, 전체 사고 건수는 13.3%, 사망자 수는 6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의 주행 실증조사에 따르면 차량 속도를 기존 시속 60km에서 50km로 낮추더라도 통행시간은 2분만 증가했고, 부산시의 택시요금 실증조사에서는 요금 106원 증가하는 것에 불과해 교통정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 관계자는 “안전속도 5030은 사람 중심의 도시와 교통체계로 가는 신호탄이라 할 수 있다.”며, “속도하향 정책이 실제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