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유역 700만 주민의 먹는 물 안전 확보”
- 수자원 / 왕보현 기자 / 2022-07-01 22:17:56
-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 예타 통과
- 올해 하반기 기본계획 수립 절차 착수, 2025년 착공 예정
이날 기획재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2022년 제2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개최하여 이번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을 조사하고, 경제성‧정책성‧지역균형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종합평가(AHP) 결과가 0.556으로사업의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심의‧의결했다.
이번 사업은 낙동강 유역 취수원의 다변화를 통해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등 낙동강 유역 700만 주민의 먹는 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총사업비 2조 4,959억 원(예타 사업계획안 기준)을 투입하여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사업은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대구‧경북에 일평균 30만㎥을 공급하기 위한 관로 45.2km, 합천 황강 복류수와 창녕 강변여과수를 개발하여 부산과 경남 동부에 일평균 90만㎥을 공급하기 위한 취수시설 및 관로 102.2km, 청도 운문댐에서 울산에 반구대암각화 보호를 위한 물량 공급을 위한 관로 43.8km를 건설한다는 3가지로 구성되었다.
환경부는 신속한 사업추진을 위해 올해 하반기에 즉시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하고, 2024년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 절차를 차질없이 이행하여 2025년에 사업을 착공할 계획이다.
김동구 환경부 물통합정책관은 “이번 사업은 영남권 주민들의 식수 안전을 확보하고, 낙동강 상‧하류 간 먹는 물 갈등 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며,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정부 사업으로 확정된 만큼 해당지역 주민들과 더 소통하고, 내년도 관련 예산 확보 등으로 사업이 적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올해 하반기 기본계획 수립 절차 착수, 2025년 착공 예정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환경부는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이 6월 30일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정부 사업으로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 |
▲ 환경부는 낙동강 유역 취수원의 다변화를 통해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등 낙동강 유역 700만 주민의 먹는 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총사업비 2조 4,959억 원(예타 사업계획안 기준)을 투입하여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될 ‘낙동강 유역 안전한 먹는 물 공급체계 구축사업’ 이 6월 30일 기획재정부의 예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
이날 기획재정부는 정부서울청사에서 2022년 제2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개최하여 이번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을 조사하고, 경제성‧정책성‧지역균형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종합평가(AHP) 결과가 0.556으로사업의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심의‧의결했다.
이번 사업은 낙동강 유역 취수원의 다변화를 통해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등 낙동강 유역 700만 주민의 먹는 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총사업비 2조 4,959억 원(예타 사업계획안 기준)을 투입하여 2028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 |
▲ 구미 해평취수장 |
사업은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대구‧경북에 일평균 30만㎥을 공급하기 위한 관로 45.2km, 합천 황강 복류수와 창녕 강변여과수를 개발하여 부산과 경남 동부에 일평균 90만㎥을 공급하기 위한 취수시설 및 관로 102.2km, 청도 운문댐에서 울산에 반구대암각화 보호를 위한 물량 공급을 위한 관로 43.8km를 건설한다는 3가지로 구성되었다.
환경부는 신속한 사업추진을 위해 올해 하반기에 즉시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하고, 2024년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 절차를 차질없이 이행하여 2025년에 사업을 착공할 계획이다.
김동구 환경부 물통합정책관은 “이번 사업은 영남권 주민들의 식수 안전을 확보하고, 낙동강 상‧하류 간 먹는 물 갈등 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며,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여 정부 사업으로 확정된 만큼 해당지역 주민들과 더 소통하고, 내년도 관련 예산 확보 등으로 사업이 적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