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생태환경을 위한 제주도 100경
- 자연 / 왕보현 기자 / 2020-05-08 22:14:33
- 제주도 100곳 생태자산 평가 결과…지도로 한눈에
- 국립생태원, 제주도 생태자산 100곳 평가 결과를 지도로 제작
- 지역 활동가, 지역 주민, 전 국민 대상 생태계 서비스 평가 소개
국립생태원은 7일 제주도 지역의 생태자산을 소개하고,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주도 생태자산 100곳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도’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생태계서비스 평가 지도’는 ‘지역의 생태가치 평가 및 인식 증진 방안 연구’의 하나로 금능으뜸원해변 등 제주도 생태자산 100곳을 지역 활동가와 국민들이 평가한 결과를 담았다.
‘생태계서비스 평가 지도’는 지역 활동가 42인, 지역 주민 93인, 모바일(스마트폰)으로 참여한 국민 7,873인 등 총 8,000여 명이 참여했고, 제주도 100곳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 간이평가, 위협요인 평가, 모바일 평가 등 3가지 방법을 통해 평가했다.
지도 앞면은 오름, 해변, 숲 등 지역 활동가가 생태자산 곳을 방문하여 평가한 결과를 지도로 제작하여 시민들의 이해와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했다.
뒷면은 지역 주민이 인식하는 생태자산별 선호도와 환경위협도 순위 등을 제시했다.
제주 지역 주민의 생태자산 선호도는 금능으뜸원해변, 곶자왈도립공원, 사려니숲길 순으로 나타났고, 지역 주민이 인식하는 생태자산의 환경 위협도가 높은 곳은 월정리해변, 이호테우해변, 함덕서우봉해변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중문색달해변 경우 인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가장 유도해야 할 생태자산으로 조사됐고, 1100습지는 절대적인 자연보호가 필요한 생태자산으로 분석됐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평가지도가 지역 생태자산에 대한 지역 주민 인식을 고취하고, 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가 지자체 환경·생태정책에 반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용목 국립생태원장은 “지역 주민이 주도적으로 생태자산을 발굴하고 평가하는 과정은 지역 사회 및 경제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국립생태원, 제주도 생태자산 100곳 평가 결과를 지도로 제작
- 지역 활동가, 지역 주민, 전 국민 대상 생태계 서비스 평가 소개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제주도의 생태환경을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곳과 절대적인 자연보호가 필요한 생태자산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지도가 발행되었다.
![]() |
▲ 국립생태원은 제주도 지역의 생태자산을 소개하고,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주도 생태자산 100곳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도’를 제작했다(사진=국립생태원 제공) |
국립생태원은 7일 제주도 지역의 생태자산을 소개하고,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이해도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제주도 생태자산 100곳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지도’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 ‘생태계서비스 평가 지도’는 ‘지역의 생태가치 평가 및 인식 증진 방안 연구’의 하나로 금능으뜸원해변 등 제주도 생태자산 100곳을 지역 활동가와 국민들이 평가한 결과를 담았다.
‘생태계서비스 평가 지도’는 지역 활동가 42인, 지역 주민 93인, 모바일(스마트폰)으로 참여한 국민 7,873인 등 총 8,000여 명이 참여했고, 제주도 100곳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 간이평가, 위협요인 평가, 모바일 평가 등 3가지 방법을 통해 평가했다.
지도 앞면은 오름, 해변, 숲 등 지역 활동가가 생태자산 곳을 방문하여 평가한 결과를 지도로 제작하여 시민들의 이해와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했다.
뒷면은 지역 주민이 인식하는 생태자산별 선호도와 환경위협도 순위 등을 제시했다.
![]() |
▲ 제주 지역 주민의 생태자산 선호도는 금능으뜸원해변, 곶자왈도립공원, 사려니숲길(사진)순으로 나타났다.(사진=국립생태원 제공) |
제주 지역 주민의 생태자산 선호도는 금능으뜸원해변, 곶자왈도립공원, 사려니숲길 순으로 나타났고, 지역 주민이 인식하는 생태자산의 환경 위협도가 높은 곳은 월정리해변, 이호테우해변, 함덕서우봉해변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 |
▲ 지역 주민이 인식하는 생태자산의 환경 위협도가 높은 곳은 월정리해변, 이호테우해변, 함덕서우봉해변(사진)으로 순으로 나타났다(사진=국립생태원제공) |
중문색달해변 경우 인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가장 유도해야 할 생태자산으로 조사됐고, 1100습지는 절대적인 자연보호가 필요한 생태자산으로 분석됐다.
![]() |
▲ 중문색달해변(사진) 경우 인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가장 유도해야 할 생태자산으로 나타났다(사진=국립생태원 제공) |
국립생태원은 이번 평가지도가 지역 생태자산에 대한 지역 주민 인식을 고취하고, 생태자산과 생태계서비스가 지자체 환경·생태정책에 반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 1100습지(사진)는 절대적인 자연보호가 필요한 생태자산으로 분석됐다.(사진=국립생태원 제공) |
박용목 국립생태원장은 “지역 주민이 주도적으로 생태자산을 발굴하고 평가하는 과정은 지역 사회 및 경제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