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재심 화가, ‘세종보갤러리’서 7번째 개인전

예술 / 왕보현 기자 / 2022-10-15 22:14:38
- 10월 18일(화)부터 30일 까지
- “Here, I am” 주제로 70여 점 선보여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 오재심의 일곱 번째 개인전이 10월 18일부터 30일 까지 세종시 한솔동 소재 세종보갤러리에서 열려 70 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나는 점이다. 광대한 우주 안에서 먼지 같은 한 점, 하지만 정말 소중한 점. 나는 그 특별한 한 점을 그린다.”
미술교사로 32년을 근무하고 은퇴한 지 10년. 퇴직 후 오재심의 일상은 자신의 소망을 형상화하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그의 소망은 우주의 꽃으로 피어났고 다시 점으로 지금 여기에 바로 나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미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9월 27일 지구에서 약 천100만㎞ 떨어진 심우주에서 충돌 코스의 소행성 ‘다이모르포스’(Dimorphos)에 우주선을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는 실험에 성공했다. 인류가 천체의 궤도를 바뀐 최초의 사례이다.
우리의 달탐사선이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순조로운 항해를 하고 있는 시대이지만 우주는 너무나 넓고 광대하다. 우주 속 인류는 하나의 점에 불과하다. 하나의 점을 통해 삼라만상을 바라보고 우주를 이야기 한다.

전시의 주제는 “Here, I am” 광대한 우주 속에서 나의 존재를 점(dot)에서 찾았다. 오재심의 일곱 번째 개인전이 10월 18일부터 30일 까지 세종시 한솔동 소재 세종보갤러리에서 열려 70 여 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전시장은 마치 우주선의 창을 통해 보는 심우주를 옮겨 놓은 듯하다. 광대한 우주 속에서 점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모든 것들이 서로 모여 새로운 세상을 창조한다. 깊은 우주 속 떠 있는 점 들은 모두 각각의 세계이다. 그것이 때로는 빛으로 나무로 생명의 형상으로 표현된다. 몽환의 세계인 듯 하다가 심연으로 세계로 들어가는 새로운 문이고 창으로 열린다. 캔바스에 펼쳐진 우주와 그리고 나, 여기는 수많은 이야기와 소식들을 잠재하고 오재심의 담백한 붓터치를 통해 관객들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 중견화가 오재심의 일곱 번째 개인전이 10월 18일부터 30일 까지 세종시 한솔동 소재 세종보갤러리에서 열린다. 전시장은 마치 우주선의 창을 통해 보는 심우주를 옮겨 놓은 듯하다. 광대한 우주 속에서 점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는 모든 것들이 서로 모여 새로운 세상을 창조한다. 깊은 우주 속 떠 있는 점 들은 모두 각각의 세계이다.


도시인에게는 아련한 밤하늘의 추억을 더듬게 한다. 겨울밤 칠흑 같은 밤하늘 속을 주시하던 천체망원경의 차가운 화인더의 기억이다. 그 내밀한 기억을 일상의 풍경처럼 다채롭게 풀어 놓은 작품들은 우주 속 한낱 점에 불과한 인생들이 더욱 새롭게 나타난다. 같은 듯 그러나 모두 다른 점. 점과 점이 모여 가족이 되고 사회가 된다.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가 “여기에 보이는 건 껍데기에 지나지 않아.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아.”라고 말한 것처럼 눈을 감고 마음에 귀를 기울여 오재심의 작품을 느낄 수 있다. 오재심이 바라 본 우주 속 나의 모습은 관객의 시선으로 바로 오늘 이 자리에서 완성된다.


오재심은 미술교사로 오랜 기간 청소년들에게 미술 이야기를 해왔고, 지금은 작가로서 자신에게 미술이야기를 하고 있다. 개인전을 갖는다는 것은 우리에게 그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다.

오재심 작가는 “나의 작업은 광대한 검은 우주에 반짝이는 작은 점으로 현재를 살고 있는 나를 들여다보는 과정”이라면서, “거역할 수 없는 삶과 죽음을 순순히 받아들이고, 아름다운 하루가 주어진 오늘의 찬란한 생명을 캔버스에 담는 것”이라고 말한다.

오재심은 자신을 감싸는 신비한 에너지를 표현하기 위해 오늘도 ‘우주의 속삭임에 귀를 쫑긋한다.


오재심(1956 ~ ) 

 

학력
2007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평생교육학
2005 강남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육행정학
1982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과
1980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교직경력
1980-2012 32년간 미술교사 근무 : 전곡고, 성남서고, 양영중, 광명중, 성남여고, 

분당정보산업고, 불곡고, 수지홍천고

미술교육논문
2006 영어로 진행하는 한국문화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지도
2005 영어로 진행하는 전통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지도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프로그램 개발과 지도
2004 영어로 진행하는 민화교육을 통한 한국문화의 세계화 모색
2003 민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지도

주요 전시
2022 제7회 개인전,세종보갤러리
2021 서울아트쇼, 코엑스,서울
2018 제6회 개인전,롯데갤러리 초대전 잠실점
2017 서울아트엑스포, 코엑스,서울
2016 후쿠호카 아시아 미술전, 일본
제5회 개인전, 가나아트스페이스,서울
제4회 개인전, 롯데갤러리 초대전 명동본점
2015 제3회 개인전,한국경제신문사 초대전, 서울
세계여성미술대전, 토론토
2014 제2회 개인전,가나아트스페이스,서울
2010 제1회 개인전,갤러리이즈,서울
2008-1983 미술교사 단체전 참가

수상
2017 환경미술작가상, 환경부장관상
2012 미술교육발전 공로표창 대통령상
2007 모범공무원표창 국무총리상
2006-2003 미술논문대회 수상
2005-1988 미술지도교사상
1979-1977 전국대학미전 입상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