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확성기 설치... 오늘은 가동 안해…
- 정부 / 왕보현 기자 / 2024-06-10 21:28:34
- 군 오전부터 접경지역 이동식 확성기 배치
- 속도조절 필요성, 언제든 대북방송 가능
- 북, 대남 오물 풍선 310여개 추가 살포
- 접경지역 긴장 증가... 주민 일상유지 노력
이날 오전 경기도 파주시 임진강 접경지역에서 우리 군은 이동식 대북 확성기를 설치를 완료했다. 군 장병들은 오전부터 이동식 확성기를 철책 바로 앞 진지에 설치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했다. 장병들이 설치한 차량은 전날 군이 공개한 이동식 확성기 차량과 장비의 운용을 일제 점검하는 ‘자유의 메아리’ 훈련 영상에 담긴 차량 중 하나로 보였다.
장병들은 전기장치와 안테나 등 송출에 필요한 시설들을 최종 점검한 후 위장막을 씌우고 상부의 지시를 기다렸다.
하지만 군 당국이 10일에는 대북 심리전 수단인 최전방 확성기를 가동하지 않기로 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국방부 출입기자단 대상 공지를 통해 “대북 확성기 방송은 현재까지 실시하지 않았고, 오늘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면서도 “북한이 비열한 행위를 할 경우에는 즉시라도 방송할 준비는 돼 있다”고 밝혔다.
오물 풍선이 날라 오고 대북 확성기가 설치되면서 접경지역 주민들이 긴장은 가중되며 불안한 마음을 감추지 않고 있기도 하고 의연하게 일상을 유지하려는 주민들의 노력도 보인다.
이날 확성기를 가동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군의 한 소식통은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해 상황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다른 소식통도 “우리 군이 어제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다고 오늘도 꼭 틀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며 속도 조절을 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했다.
북한은 전날 우리 군이 2018년 이후 6년 만에 대북 확성기 가동을 재개하자, 밤부터 이날 아침까지 대남 오물 풍선 310여개를 추가로 살포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을 위해 이날 출국한 것도 확성기 가동을 보류한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순방 기간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수위가 크게 높아지는 것은 피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인 것으로 관측된다.
- 속도조절 필요성, 언제든 대북방송 가능
- 북, 대남 오물 풍선 310여개 추가 살포
- 접경지역 긴장 증가... 주민 일상유지 노력
[티티씨뉴스파주=글·사진왕보현 기자]
북한이 대남 오물 풍선을 추가 살포한 다음 날인 10일 오전, 우리 군 당국이 접경지역에 ‘이동식 대북 확성기’를 설치한 모습이 티티씨뉴스 카메라에 포착됐다.
![]() |
▲ 10일 경기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우리 군장병들이 이동식 확성기로 추정되는 트럭 앞에서 작업하고 있다. |
이날 오전 경기도 파주시 임진강 접경지역에서 우리 군은 이동식 대북 확성기를 설치를 완료했다. 군 장병들은 오전부터 이동식 확성기를 철책 바로 앞 진지에 설치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했다. 장병들이 설치한 차량은 전날 군이 공개한 이동식 확성기 차량과 장비의 운용을 일제 점검하는 ‘자유의 메아리’ 훈련 영상에 담긴 차량 중 하나로 보였다.
장병들은 전기장치와 안테나 등 송출에 필요한 시설들을 최종 점검한 후 위장막을 씌우고 상부의 지시를 기다렸다.
![]() |
▲ 10일 오전 파주시 임진강변 철책 앞에 이동식 대북 확성기가 위장막으로 가려진 채 대북방송을 기다리고 있다. |
하지만 군 당국이 10일에는 대북 심리전 수단인 최전방 확성기를 가동하지 않기로 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국방부 출입기자단 대상 공지를 통해 “대북 확성기 방송은 현재까지 실시하지 않았고, 오늘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면서도 “북한이 비열한 행위를 할 경우에는 즉시라도 방송할 준비는 돼 있다”고 밝혔다.
오물 풍선이 날라 오고 대북 확성기가 설치되면서 접경지역 주민들이 긴장은 가중되며 불안한 마음을 감추지 않고 있기도 하고 의연하게 일상을 유지하려는 주민들의 노력도 보인다.
![]() |
▲ 10일 오후 파주시 접경지역의 우리 군 초소 너머로 북한 초소와 인공기가 펄럭이는 모습이 보인다. |
이날 확성기를 가동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군의 한 소식통은 “전략적 유연성을 발휘해 상황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다른 소식통도 “우리 군이 어제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다고 오늘도 꼭 틀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며 속도 조절을 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로 했다.
북한은 전날 우리 군이 2018년 이후 6년 만에 대북 확성기 가동을 재개하자, 밤부터 이날 아침까지 대남 오물 풍선 310여개를 추가로 살포했다.
![]() |
▲ 파주시 접경지역의 민간인통제선 너머로 철책이 보인다. 우리 군인과 철책 건너편의 흐릿하게 보이는 지역이 북한이다. |
한편 윤석열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3개국 국빈 방문을 위해 이날 출국한 것도 확성기 가동을 보류한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순방 기간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수위가 크게 높아지는 것은 피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인 것으로 관측된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