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수달의 푸짐한 점심식사
- 자연 / 왕보현 기자 / 2023-02-09 21:26:46
- 강원도 횡성 섬강변에서 만난 수달
- 하천 생태계의 조절자 수달
그러면서 용환국 사진가는 “사진 촬영을 하는 한 시간 동안 퉁사리, 꺽지, 토종개, 빠가사리등 토종 물고기와 청둥오리 등 수 kg를 먹었다” 고 말했다.
- 하천 생태계의 조절자 수달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멸종위기 1급이자 천연기념물 330호로 지정된 수달이 최근 곳곳에서 목격되고 있다.
수달은 황소개구리나 배스 같은 생태계 교란종을 잡아먹는 천적 역할을 하는데다 먹이사슬 최정점에 있어 하천 생태계의 조절자 역할을 한다.
![]() |
▲ 멸종위기 1급 수달이 8일 횡성 섬강변에서 먹이활동하고 있다(사진=용환국 사진가 제공) |
2005년 멸종위기종(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었고 재밌는 모습 때문에 사랑도 많이 받지만 상위 포식자가 없는 탓에 개체 수가 많아지면서 수달로 인한 피해도 점점 늘고 있는 추세다.
![]() |
▲ 멸종위기 1급 수달이 8일 횡성 섬강에서 얼음 속에서 물고기를 잡아 먹이활동하고 있다(사진=용환국 사진가 제공) |
추운 겨울 먹이를 구하기 쉽지 않다 보니 비교적 수심이 얕고 먹이가 풍부한 강원도 횡성군 섬강변에 지난 8일 모습을 드러냈다. 입춘이 지나고 한낮 기온이 영상으로 오르자 수달은 왕성한 식욕을 자랑하며 먹이활동에 여념없었다.
![]() |
▲ 수달은 1982년 11월 16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멸종위기종(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었다. 몸길이 63∼75cm, 꼬리길이 41∼55cm, 몸무게 5.8∼10kg이다. 형태는 족제비와 비슷하지만 훨씬 더 크고 수중생활을 하기에 알맞다. 머리는 원형이고, 코는 둥글며, 눈은 작고, 귀는 짧아서 주름가죽에 덮여 털 속에 묻혀 있다.(사진=용환국 사진가 제공) |
강원도 춘천을 기반으로 전국의 생태 사진을 촬영해 온 용환국(60) 사진가는 “수달은 추운 겨울 보온에 좋은 모피를 갖고 있지만, 몸에 지방이 적어서 에너지 소모가 상당히 많다.”면서, “한겨울에 찬물 속에서 물고기를 잡아먹어야만 생존할 수 있어 얼지 않은 물을 찾아 부지런히 먹이 활동을 이어 간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용환국 사진가는 “사진 촬영을 하는 한 시간 동안 퉁사리, 꺽지, 토종개, 빠가사리등 토종 물고기와 청둥오리 등 수 kg를 먹었다” 고 말했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