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우주 시대 대비 ‘위성 공동활용’
- 수자원 / 왕보현 기자 / 2024-07-04 20:07:01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한국수자원공사(사장 윤석대)는 4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산림과학원, 국토지리정보원과 함께 차세대중형위성 영상 정보의 공유, 품질향상 및 활용 활성화에 협력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한국수자원공사는 4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차세대중형위성 영상 정보의 공유, 품질향상 및 활용 활성화에 협력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국립산림과학원 배재수 원장,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김병기 원장, 국립농업과학원 이승돈 원장, 국토지리정보원 조우석 원장이 협약 체결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한국수자원공사 제공) |
차세대중형위성은 국내 독자개발한 500kg급 표준형 위성 표준 본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대국민 공공서비스를 목적으로 개발·운영 중인 위성이다.
협약에 참여한 4개 기관은 차세대중형위성의 주 활용기관으로, 수자원 및 국토·농업·산림 분야 공공서비스 개발 및 운영을 위해 각각 수자원위성센터(한국수자원공사), 농업위성센터(국립농업과학원), 국가산림위성정보활용센터(국립산림과학원), 국토위성센터(국토지리정보원)를 운영 중이다.
한국수자원공사는 환경부와 함께 5호기(수자원위성) 위성정보를 활용하여 한반도의 수자원 관리와 홍수·가뭄 등 수재해 모니터링, 하천환경 변화 모니터링, 한반도 수자원부존량 평가 등을 수행하기 위한 지상운용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차세대중형위성 1·2호기(국토위성)의 영상정보를 활용해 국토이용 모니터링, 국토자원 관리, 각종 재난 대응 및 국가 공간정보 분야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2025년 발사 예정인 4호기(농림위성)는 국립농업과학원과 국립산림과학원이 주로 활용할 예정으로 국내 농업생산 환경 및 농작물 재배현황 모니터링, 산불·산사태 등의 산림재난, 산림자원정보 및 산림 건강성 모니터링 등을 통해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국가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약을 통해 4개 기관은 차세대중형위성 영상의 상호 공유 및 품질향상을 위한 공동협력과 위성정보의 공동분석 및 실용화 기술을 개발한다. 또 차세대중형위성 운영·활용 관련 제도마련 및 개선과 기관 간 역량 강화를 위한 학술행사 개최 및 인적 교류에 공동의 노력을 기울일 것을 합의했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 소속 위성센터는 위성 관측자료의 공유, 산출물 검정·보정 알고리즘 개발, 공동 심포지엄 개최 등을 통한 위성산출물 활용 촉진에 협력하게 된다. 또한, 기관 간 효율적 협력업무 추진을 위해 ‘차세대중형위성 협의체’ 구성과 공동 운영규정도 마련할 계획이다.
한국수자원공사 김병기 K-water연구원장은 “수자원 및 국토·농업·산림 위성정보의 융복합 활용은 물 관련 재해 대응과 효율적 수자원 활용의 핵심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며, “차세대중형위성 주 활용기관들과 협력을 강화하여 이상기후 대비 선제적·과학적 물관리를 실현하는 기틀을 마련해 나가는 한편 위성 활용 관련산업 육성에도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