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르뽀] 2021년 새해, 천만시민의 일상 여는 가락시장
- 기획·특집 / 왕보현 기자 / 2021-01-07 17:04:11
- 경매사는 흥 돋우고, 중매인들 매의 눈으로 낙찰
- 수도권 시민 먹거리의 50% 책임지는 세계 최대 경매시장
[티티씨뉴스 글‧사진=왕보현 기자]
가락시장(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의 하루는 저녁에 시작한다. 숨 가쁘게 달려 온 서울의 하루가 저물고 어두움이 시작되면 가락시장은 서서히 깨어난다. 수도권 인근에서 출하된 상추, 쑥갓, 깻잎 등 근교산 채소류 경매를 시작으로 밤새 농산물 경매가 이어지고 신새벽 활어 경매까지 가락시장은 불야성을 이룬다.
![]() |
![]() |
▲ 제주에서 전남고흥까지 선편으로 배송된 감귤 콘테이너가 6시간의 육로를 달려 가락시장에 도착해 하역 작업중이다. |
경매를 준비하며 도매법인 직원들이 바닥에 물건의 상태와 수량, 생산자 등을 써 놓는다. 경매의 성공여부는 물건 상태 파악에서 승부가 난다. 물건의 배치가 완료되면 부지런한 중도매인들이 경매 참가에 앞서 자신이 구매할 농수산물의 상태를 꼼꼼하게 살펴본다.
고구마, 감자, 당근 등 뿌리채소 중매인 경력 20년의 박순복(62)씨는 "입찰에 참가할 때 마다 늘 새로운 마음이다. 경매사의 목소리에 귀기우리며 20년 노하우를 총동원해 물건을 살펴보고 정확하게 판단해 적정가격을 남들보다 빠르게 단말기를 눌러야 낙찰 받을 수 있다"며 "올 한해 코로나에서 벗어나 경제도 살고 농민들도 행복한 소띠 해가 되었으면 좋겠다"며 활짝 웃는다.
![]() |
![]() |
![]() |
이즈음 겨울철 청과류 경매의 꽃은 딸기와 감귤이다. 탱글탱글 탐스럽고 때깔 좋은 딸기 경매가 열린다. KF94 마스크로 든든하게 무장했지만 경매장에는 달콤한 딸기 향이 가득하다.
![]() |
![]() |
▲ 중매인의 투찰내역은 실시간으로 경매사의 컴퓨터 화면에 표출되고 낙찰여부가 결정된다. |
경매가 진행될수록 중매인들의 숨소리가 가빠지고 경매사의 목소리도 한층 굵어지고 흥이 넘쳐난다. 곧 경매사의 입을 통해 다시 정겨운 가락으로 바뀐다.
경매사는 구수한 목소리로 "하레 특가~", 하레 특가~", "35, 특, 만원에 48호 낙찰!". 장단에 리듬이 더해지면서, 딸기 경매 현장은 무르익는다.
![]() |
![]() |
![]() |
▲ 제주에서 1박2일 달려 온 광어가 활어차에서 내려지고 있다. |
![]() |
밤이 깊어 새벽이 다가올 무렵 수산부에서는 활어 경매가 시작된다. 제주 양식장에서 대형 활어차에 광어를 가득 싣고 1박2일에 거쳐 가락시장에 도착해 하역하고 있는 현기송(35)씨는 “제주에서 배를 이용해 활어차에 광어를 싣고 목포항에 도착 후 목포에서 다시 가락시장 까지 고속도로로 쉼 없이 달려온다”며 “제주에서 여기까지 운송비만 해도 1백만 원이 넘게 들여 고생하며 올라온 만큼 오늘 경매에서 좋은 가격을 받아 돌아 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6일 서울의 아침최저기온은 영하 11도까지 내려갔다. 체감온도는 영하 15도 아래다. 전국 대부분이 꽁꽁 얼어붙었다. 밤을 잊고 불을 밝히며 살아가는 가락시장 경매인, 중매인, 하역원 외 수많은 종사자들이 있어 수도권 시민의 밥상은 행복하다.
가락시장은 1985년 개장해 농수산물의 원활한 유통과 적정가격 유지로 생산자와 소비자를 보호하며, 수도권 시민의 먹거리 절반을 책임지고 있는 명실상부 국내 최대 농수산물 도매시장이다.
![]() |
가락시장에는 약 3,600여 업체 1만 3천여 명이 종사하며, 출입차량도 하루에 4만 8천여 대에 이르고 있다. 하루 평균 7,719톤의 농수산물이 유통되며 거래 금액은 하루 평균 160억 원을 상회한다.
![]() |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