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20개 다목적댐, 용수공급 문제없어
- 수자원 / 왕보현 기자 / 2025-01-14 15:56:17
- 홍수기 전(6월 20일)까지 안정적인 생활·공업용수 공급 가능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전국 20개 다목적댐 저수량이 예년 대비 127% 수준인 83.6억㎥에 이르러 홍수 건 까지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다.
![]() |
▲ 전국 20개 다목적댐 저수량이 예년 대비 127% 수준인 83.6억㎥에 이르러 홍수 건 까지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다. 사진은 우리나라 최고의 다목적댐인 소양강댐으로 13일 현재수위 187.18El.m이고 저수량은2093백만㎥로 저수율은 72.2%를 기록하고 있다(티티씨뉴스 자료사진) |
환경부는 지난해 한 해 동안 내린 강우량은 1,342㎜로 예년과 비슷(예년의 106%)했으나,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가 종료된 10월과 11월에 내린 비가 예년을 크게 웃돌면서 충분한 댐 저수량이 확보될 수 있었다며 이 같이 밝혔다.
다목적댐 유역에 내린 비의 양을 시기별로 상세하게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4년 1분기(1~3월)에는 예년의 176% 수준의 많은 비(182㎜)가 내려 3월 말에 역대 최대 저수량(98.9억㎥)을 기록한 반면, 8월 강우량(78㎜)이 예년(277㎜)의 28% 수준에 그쳐, 9월에는 다목적댐 저수량이 예년 수준 이하로 감소했다.
홍수기 종료(9월 20일) 후, 10월과 11월에는 예년의 161% 수준의 많은 비(155mm)가 내렸고, 안정적 용수공급을 위해 이를 댐 내 최대한 저류하여 10월 이후 현재까지 예년보다 많은 저수량을 유지하고 있다.
현재 20개 다목적댐의 총저수량인 83.6억㎥은 작년 1월(95.7억㎥)보다는 적지만, 예년보다 양호한 수준(예년의 127%)으로, 올해 홍수기 전까지 전국 대부분의 지역의 용수공급에는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권역별 주요 댐의 저수 현황을 살펴보면, 한강 권역의 경우 수도권 용수공급을 담당하는 소양강댐(예년의 139%)과 충주댐(예년의 126%)을 비롯하여, 낙동강 권역의 주요 용수 공급원인 안동댐(예년의 134%)과 합천댐(예년의 125%)도 충분한 저수량을 확보 중이다. 이에 따라 이들 다목적댐 유역 대부분에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
▲ 2022~2023년 극심한 가뭄이 발생했던 섬진강 권역의 주암댐(예년의 148%)과 섬진강댐(예년의 112%)도 예년보다 많은 저수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금강 권역의 주요 댐인 대청댐(예년의 113%)과 용담댐(예년의 111%)도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한 저수량을 확보 중이다. 사진은 섬진강댐(티티씨뉴스 자료사진) |
또한, 2022~2023년 극심한 가뭄이 발생했던 섬진강 권역의 주암댐(예년의 148%)과 섬진강댐(예년의 112%)도 예년보다 많은 저수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금강 권역의 주요 댐인 대청댐(예년의 113%)과 용담댐(예년의 111%)도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한 저수량을 확보 중이다.
다만, 충남 서부지역의 용수공급을 담당하는 금강 권역의 보령댐은 작년 8월 이후 12월까지 유역 강우량(412㎜)이 예년의 67% 수준에 그쳐, 1월 2일부터 가뭄 ‘관심’ 단계에 진입해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가뭄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 ‘관심’ 단계에 진입한 다음 날부터 도수로를 통해 금강에서 하루 11만 5천㎥의 물을 보령댐에 공급하고 있으며, 홍수기 전까지 보령댐의 용수공급 문제는 없을 전망이다.
한편, 기상청이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3개월 기상 전망에 따르면, 올겨울 강우량은 대체로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은 수준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환경부는 댐 수위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주기적 유입량 분석 등 철저한 저수량 관리로 용수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대비하고 있다.
전국 다목적댐 용수 현황
(’25.1.13.07시)
구 분 | 수 위(EL.m) | 저수량(백만㎥) | 저수율(%) | |||||
계획 홍수위 | 상시 만수위 | 현재 수위 | 총 저수량 | 현재 저수량 | 현재 | 예년 대비 | ||
총 계 | |
|
| 12,923 | 8,359 | 65 | 127 | |
한 강 | 소양강 | 198.0 | 193.5 | 187.4 | 2,900 | 2,104 | 73 | 139 |
충 주 | 145.0 | 141.0 | 135.7 | 2,750 | 1,772 | 64 | 126 | |
횡 성 | 180.0 | 180.0 | 176.6 | 87 | 68 | 78 | 139 | |
낙 동 강 | 안 동 | 161.7 | 160.0 | 152.1 | 1,248 | 821 | 66 | 134 |
임 하 | 164.7 | 163.0 | 148.9 | 595 | 267 | 45 | 105 | |
성 덕 | 364.9 | 364.0 | 357.2 | 28 | 18 | 66 | 120 | |
영 주 | 164.0 | 161.0 | 154.9 | 181 | 105 | 58 | 127 | |
군 위 | 205.1 | 204.0 | 194.9 | 49 | 27 | 54 | 123 | |
김 천 부 항 | 198.6 | 195.0 | 186.4 | 54 | 29 | 53 | 95 | |
보현산 | 238.5 | 236.0 | 229.1 | 22 | 12 | 56 | 137 | |
합 천 | 179.0 | 176.0 | 164.7 | 790 | 482 | 61 | 125 | |
남 강 | 46.0 | 41.0 | 40.6 | 309 | 173 | 56 | 137 | |
밀 양 | 210.2 | 207.2 | 197.1 | 74 | 50 | 68 | 117 | |
금 강 | 용 담 | 265.5 | 263.5 | 254.1 | 815 | 483 | 59 | 111 |
대 청 | 80.0 | 76.5 | 73.0 | 1,490 | 978 | 66 | 113 | |
보 령 | 75.5 | 74.0 | 64.2 | 117 | 44 | 37 | 83 | |
영 · 섬 | 섬진강 | 197.7 | 196.5 | 186.3 | 466 | 232 | 50 | 112 |
주 암 | 110.5 | 108.5 | 105.5 | 707 | 512 | 72 | 148 | |
부 안 | 43.8 | 41.2 | 37.1 | 50 | 31 | 61 | 104 | |
장 흥 | 82.8 | 82.0 | 78.8 | 191 | 153 | 80 | 174 |
김구범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현재 다목적댐의 저수율은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 양상이 기존과 달라지고 있어 이에 대비해 댐을 운영하고 있다”라며, “극한 가뭄 등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이고 선제적인 댐 운영을 통해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하여 국민 생활과 경제활동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