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소각업계 “수해폐기물 처리” 앞장선다

환경 / 왕보현 기자 / 2024-08-12 13:40:43
- ‘수해폐기물 공익처리 지원단’ 발족
- 15개 수해지역 전수조사 및 인력·장비 투입
- 국가 기반기설 역할 충실 다짐, 정부 행정지원도 요청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사상 유례없는 폭우가 쏟아진 금년 여름은 수해로 인한 피해 또한 그에 못지않게 심각하게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는 15개 지자체를 재난 지역으로 선포하는 등 구체적 지원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무엇보다 수해 현장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무너지고 파괴되면서 떠 밀려온 폐기물 처리가 가장 급선무라고 해당 지역 주민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 「수해폐기물 공익처리 지원단」 관계자들이 대전시 서구에서 발생된 수해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구청 관계자들과 지원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사진=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 제공)

이에 민간 산업폐기물 소각장들의 모임인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이 골치 아픈 수해폐기물 처리 기간을 조금이라도 앞당기고자 지원에 나섰다.

▲ 「수해폐기물 공익처리 지원단」

   단장 김형순 이사장

8월 12일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 김형순 이사장은 “금년 여름 발생된 수해로 인한 폐기물은 재난지역으로 선포된 15개 지자체에서 2만 2천여 톤이나 발생되었다”면서 “이를 해당 지역 지자체와 주민들이 처리하는데 진땀을 흘리고 있어 조금이라도 이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고자 발 벗고 나서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형순 이사장은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은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조합 정관에 재난 폐기물 발생 시 우선 처리를 원칙으로 하고 있다”면서 “환경부에서는 2013년 ‘재난 폐기물 처리 대표 협의 기관/으로 지정하는 등 국가기간 산업으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에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은 금년에 심각한 수해를 겪은 지자체들에게서 집중적으로 발생된 수해폐기물에 한해서는 우선하여 반입 처리하므로써 자칫 우려되는 2차 환경오염 등을 사전에 예방하는데 주력키로 했다고 한다. 한편 공제조합 측은 김형순 이사장을 단장으로 하는「수해폐기물 공익처리 지원단」을 구성하고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누어 수도권, 남부권, 호남권으로 구분, 각 권역에 위치하고 있는 조합원사들을 중심으로 수해폐기물을 우선 처리토록 독려하는 한편 55개 전국 조합원사들의 자발적 의무 참여도 유도키로 했다. 

▲ 「수해폐기물 공익처리 지원단」 관계자들이 대전시 서구에서 발생된 수해폐기물의 처리를 위해 구청 관계자들과 지원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사진=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 제공)

공제조합 측은 이를 위해 해당 지자체들로부터 8월 31일까지 신청서를 제출받고 신청 순서에 따라 신속히 현장을 방문하여 처리 방법과 지원 방안 등을 마련키로 하였다. 공제조합에서는 금번 국민 고통분담 차원에서 운영되는「수해폐기물 공익처리 지원단」을 향후 상시 운영체제로 전환하여 매년 반복되는 수해로 인해 폐기물이 발생될 경우 공익을 기반으로 해당 폐기물을 우선하여 처리키로 하였다고 한다.


공제조합은 현재 수해폐기물 처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들을 대상으로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으로 연락하여 안정적이고 신속하게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하여 줄 것을 안내하고 있다.

한편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은 과거 태풍 매미로 인한 수해폐기물 처리, 태안 유조선사고로 인한 유류폐기물 처리, 구미 불산사고로 인한 화학폐기물 처리, 코로나 사태로 인한 의료폐기물 처리 등 국가 재난 사태 시 최일선에서 재난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앞장서 온 대표단체이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