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있을 때 모아 없을 때 쓴다”
- 환경 / 왕보현 기자 / 2023-05-11 10:30:43
- 환경산업기술원, 지하수 인공함양 기술 개발
- 지난해 가뭄지역 적용 및 물량 검증 마쳐
이 기술은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수요대응형 물공급서비스 연구개발(R&D)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2018년부터 2022년 까지 5개년 동안 대전대학교 김규범 교수팀이 수행한 ‘평탄지 지하수 인공함양 예측 및 효과 평가 기술’연구의 결과이다.
연구기관은 앞으로 추가 점검과 유지관리 지침서 도출을 통해 홍성군에 기술을 이전하고 물 확보가 시급한 다른 지자체에도 설명회 및 홍보를 추진하여 기술보급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최흥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기후변화로 가뭄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어 하수나 빗물, 재이용수 등 가용 수자원을 모두 동원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 기술이 가뭄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지난해 가뭄지역 적용 및 물량 검증 마쳐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평상시 남는 물을 지하에 저장해 가뭄 때 요긴하게 쓸 수 있게 되었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최흥진)은 물이 여유 있을 때 지하에 일시적으로 저장했다가 물이 필요할 때 공급할 수 있는 지하수 인공함양(재충전)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 |
▲ 가뭄 발생 시마다 지하수 난 개발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및 지하수자원 고갈 방지를 위해 지역 맞춤형 용수 공급 체계를 확보할 수 있는 지하수 인공함양 기술이 개발되어 물 복지 사각지대에 안정적으로 용수를 확보 공급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이브리드형 인공함양 순환시스템 체계도=한국환경산업기술원 제공) |
지하수 인공함양은 지하에 물을 함유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이곳에 지표·지하수를 인위적으로 보내어 저장하는 기술이다.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정교하게 연결된 관망을 통해 물을 하류 지역에 모을 수 있고, 이 물을 하류에서 상류로 한 번만 퍼 올리면 곳곳에 설치된 급수관을 통해 필요한 곳으로 공급할 수 있다.
기술개발을 진행한 연구기관이 상시 가뭄 지역인 충남 홍성군에 실제 규모로 인공함양 기술을 적용한 결과, 사용가능한 물의 양이 1,134㎥에서 1,926㎥으로 약 70% 증가했다.
이 지역은 인근에 저수지가 있어도 적절한 수자원 공급을 받지 못해 늘 농번기마다 월 5,000㎥ 정도 물이 부족해 농사에 어려움을 겪어왔지만, 이 기술을 적용한 지난해부터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됐다.
지하공간에 저장되는 물은 정화식물과 자갈로 구성된 식생필터를 거쳐 깨끗하게 모이기 때문에 농업용수 외에도 생활용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수질 테스트 결과 생활용수 ‘적합’판정을 받았다.
이 기술은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수요대응형 물공급서비스 연구개발(R&D)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2018년부터 2022년 까지 5개년 동안 대전대학교 김규범 교수팀이 수행한 ‘평탄지 지하수 인공함양 예측 및 효과 평가 기술’연구의 결과이다.
연구기관은 앞으로 추가 점검과 유지관리 지침서 도출을 통해 홍성군에 기술을 이전하고 물 확보가 시급한 다른 지자체에도 설명회 및 홍보를 추진하여 기술보급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최흥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기후변화로 가뭄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어 하수나 빗물, 재이용수 등 가용 수자원을 모두 동원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이 기술이 가뭄에 대응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