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중형위성 1호(국토위성) 발사장으로 출발
- 국토 / 왕보현 기자 / 2021-01-23 08:08:45
- 국토·자원 관리, 재해·재난 대응 등 정밀지상관측영상 제공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국토 자원관리와 재해 재난 대응을 위한 국토위성이 발사장으로 출발했다.
![]() |
▲ 항공우주연구원 소속 기술진들이 차세대 중형위성1호를 점검하고 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는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3월 20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인 국토위성은 22일 대전시 유성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출발해 24일 발사장인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 도착할 예정이다.
![]() |
▲ 항공우주연구원 기술진들이 차세대중형위성 이송준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일 전까지 상태 점검, 연료주입, 발사체 결합 등 발사 준비 과정을 거쳐, 러시아 JSC 글라브코스모스社의 소유즈 2.1a 발사체로 발사하게 된다.
발사 후 고도 497.8km의 궤도에서 약 2개월의 초기운영 과정을 거쳐 2021년 6월 이후부터 본격적인 정밀지상관측영상을 제공할 예정이다.
![]() |
▲ 항공우주연구원 기술진들이 차세대중형위성 이송준비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사업은 1단계와 2단계로 추진되며, 1단계는 500kg급 표준형 위성 플랫폼 확보 및 정밀지상관측용(흑백0.5m급, 칼라 2.0m급) 중형위성 2기(1호, 2호)를 국내 독자 개발하고, 2단계는 1단계 사업으로 확보된 500kg급 표준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중형위성 3기(3호 우주과학·기술검증, 4호 광역농림상황 관측, 5호 C-밴드영상레이다 수자원관측)를 국산화하여 개발하는 사업이다.
![]() |
▲ 항공우주연구원 기술진들이 차세대중형위성 분리충격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중형급 위성 표준플랫폼의 활용을 통해 다양한 탑재체의 개발과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공공분야의 관측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위성개발 기술의 산업화를 위해 국내 독자 개발된 정밀지상관측용 저궤도 실용급 위성이다.
이를 통해 500kg급 위성 표준플랫폼 개발로 후속 위성 개발비용을 절감하고, 개발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 |
▲ 항공우주연구원이 우리기술로 개발한 차세대중형위성 1호. 대부분의 핵심 구성품을 국내 산업체 및 연구기관을 통하여 개발함으로써 높은 국산화를 달성하였다. |
주관기관인 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세대중형위성 1호 개발사업을 통해 중형위성급 시스템 및 표준본체(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국내 산업체에 성공적으로 이전하여, 해외 기술에 의존해왔던 정밀 광학탑재체를 국내 독자 모델로 국산화하였다.
특히, 국산화된 정밀지상용 광학탑재체는 국내 독자모델로 다목적실용위성 3A호 대비 동일한 성능(해상도 흑백 0.55m급, 칼라 2.2m급)을 유지하면서 100kg이상의 경량화를 가능하게 했다. 차세대 기술인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방식의 영상자료처리장치를 채용함으로써 기존 위성(3A호)에 비해 무게는 1/3로 줄여 비용을 절감하고, 저장용량은 6배 증대하였다.
![]() |
▲ 항공주주연구원 기술진들이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체 접속 및 분리충격시험을 하고 있다. |
과기정통부 이창윤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발사되면, 효율적인 국토·자원 관리, 재해·재난 대응 등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정밀지상관측영상을 적기에 신속하게 제공이 가능할 것“이라면서, 특히, “1호 개발을 통해 항우연이 확보한 기술의 산업체 이전을 통해 후속 중형위성(2∼5호)의 전체 시스템을 국내 산업체가 주관하여 개발하게 됨으로써 국내위성 산업화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 |
▲ 천리안위성2A호가 촬영한 지구 영상(사진=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국토교통부 남영우 국토정보정책관은 ”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정밀지상관측영상을 제공 받으면, 국토지리정보원 내에 설치된 국토위성센터에서 위치정확도 1∼2m급의 고품질로 가공·처리한 영상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차세대중형위성 1호(국토위성)가 국토·자원 관리, 재해·재난 대응 등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공공·민간 서비스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