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직격탄 맞은 인천 중구
- 사회 / 왕보현 기자 / 2020-02-05 07:46:14
- 짜장면은 한국사람 음식 중국인들은 안먹어
- 중국행 국제 카페리 운항 중단한 인천항 썰렁
- 졸업식 입학식 취소한 대학가 개강 앞두고 혼란
[코리아 투어 프레스=왕보현 기자]
![]() |
▲ 1만4천136㎡ 규모의 차이나타운 거리에는 상점 130여 곳이 영업 중이다. 주로 대형 중식당과 월병·양꼬치 등 다양한 중국식 먹거리를 파는 가게 들이다. 4일 점심시간임에도 거리는 한산하다. |
![]() |
▲영업중인 음식점 내부도 빈자리가 대부분이다. |
동남아 등 외국인 관광객과 내국이니 방문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루는 인근 동화미을에도 간간이 오가는 외국인 개별관광객들로는 썰렁한 분위기를 바꿀 수 없었다
.
동화마을과 연접한 곳에서 잡화점을 운영하는 노재용(45)씨는 “관광객이 줄어 추워진 날씨가 더 춥다”며 “메르스나 사스가 유행할 때도 이렇지는 않았다”며 혀를 찼다.
옆 가게에서 생필품을 판매하는 장세희(62)씨는 “기자분들 본 것이 일 주일만에 한국사람 처음 본 것 같다”며 “중국사람들은 짜장면을 먹지도 않는데 이 동네에 중국사람들이 많이 온다는 헛소문 때문에 한국사람들 발길이 뚝 끊어졌다”며 안타까워 했다.
차이나타운내에는 40여 곳의 대형 중국집이 성업중이다. 평상시 점심시간에는 대기번호표를 발행하고 평일에도 길게 줄을 서서 순서를 기다리는데 오늘은 많은 점포들이 문을 열지 않았을뿐더러 영업중인 식당마저 손님이 없기는 매한가지이다.
![]() |
▲ 차이나타운에서 영업중인 40여개 중국음식점 가운데 몇몇 집들은 영업을 중단했다. |
![]() |
▲ 칭다오, 옌타이, 텐진등 중국 10개 지역으로 주 2~3회 왕복하던 국제카페리가 지난 1일부터 여객 운송을 전면 중단됐다. |
이어서 기자는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을 찾았다. 칭다오, 옌타이, 텐진등 중국 10개 지역으로 주 2~3회 왕복하던 국제카페리가 지난 1일부터 여객 운송을 전면 중단됐다.
여객 운송을 중단한 것은 1990년 인천~중국 간 카페리 항로가 개설된 이후 3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 |
▲ 운항이 중단된 인천항 제1국제여객선터미널 대합실에서 한 시민이 한가하게 앉아있다. |
다만 화물 운항은 유지된다. 선박 정기검사를 진행 중인 4개 노선과 지난해 선박 화재로 컨테이너선이 대체 운항 중인 1개 노선을 뺀 5개 노선은 화물만 수송할 계획이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여객을 통한 신종 코로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며 "향후 상황에 따라 한중 여객 운송 재개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대학사회에도 혼란이 찾아왔다.
![]() |
▲ 4일 인하대학교 학생회관앞에 설치된 감영예방 안내막 앞을 학생들이 지나고 있다. 개강을 앞둔 대학가에도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으로 비상이 걸렸다. 졸업식 입학식은 물론 신입생OT등 사람이 모이는 행사는 대부분 취소되었다.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안전지대는 어디에도 없다. 나라 전체가 비상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사태를 이겨낼 수 있다.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 검역과 방역 그리고 개인위생 등 시민 각자가 스스로 챙겨야 할 부분과 국가 시스템에서 챙겨야 할 부분을 빈틈없이 지켜나가면 조만간 이 사태는 해결될 수 있다. 공명심이나 진영의 이익을 위한 돌출행동에 대하여는 당사자들이 책임져야 한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