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섬, 세계로... 섬 교류 본격화
- 지자체 / 왕보현 기자 / 2023-10-18 03:58:18
- 한국섬진흥원, ‘한·일 섬 정책세미나’ 개최
- 신안군 방문…‘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참여 독려
일본방문단은 지난 16일 첫 공식일정으로 신안군청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박우량 신안군수의 섬 정책사례 발표, 퍼플섬(반월·박지도) 현장방문, 신재생에너지 연금정책 설명 등을 청취했다.
정책세미나는 1부(일본의 섬과 섬 정책)와 2부(한국의 섬과 섬 정책)로 나눠 일본이도진흥정책 및 6개 지역 섬 사례, 한국섬진흥원 주요 연구 사업 및 전남도·경남도·목포시의 정책사례 등으로 꾸며졌다.
이어 20일 제주를 찾아 환경자원순환센터와 우도를 방문, 담수화시설 재생사업과 청정우도 캠페인 등을 청취한다. 21일은 일본으로 복귀하는 일정이다.
오동호 한국섬진흥원장은 “지난해 한국섬진흥원이 일본을 방문해 많은 것을 얻어간 것처럼 이번 방문단에서도 의미 있는 시간이었으면 한다”면서 “한·일간 섬 교류를 본격 시작함으로써 양국이 지속가능한 섬 발전을 이루길 바란다”고 말했다.
- 신안군 방문…‘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참여 독려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한·일 섬 정책세미나’ 개최로 한·일 섬 교류가 본격화하고 있다.
▲ ‘한·일 섬 정책세미나’에 참석한 일본 대표단이 16일 전남 신안군 퍼플섬을 방문 신안군의 섬정책에 대한 설명을 청취했다.(사진=한국섬진흥원 제공) |
지난 2021년 10월 출범한 한국섬진흥원이 세계 섬 교류 허브를 핵심전략으로 내세우며 육지와 멀리 떨어진 외딴섬 ‘낙도’(落島)에 관한 다양한 연구, 홍보 및 각종 진흥활동 지원을 하고 있는 1966년 설립된 섬 전문연구 기관인 일본이도센터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한국섬진흥원이 일본을 방문한 데 이어 올해 10월 이도센터와 일본 6개의 섬 지자체가 화답 방한하면서 양국의 섬 지자체가 자연스레 교류 물꼬를 텄다.
17일 한국섬진흥원(KIDI, 원장 오동호)에 따르면 나가사키현의 이키시(市) 시라카와 히로카즈 시장을 단장으로 한 일본방문단 9명이 지난 15일부터 오는 21일까지 약 1주일간 한국에 머물 예정이다.
▲ ‘한·일 섬 정책세미나’에 참석한 일본 대표단이 16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를 방문해 조선통신사선을 견학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한국섬진흥원 제공) |
일본방문단은 지난 16일 첫 공식일정으로 신안군청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박우량 신안군수의 섬 정책사례 발표, 퍼플섬(반월·박지도) 현장방문, 신재생에너지 연금정책 설명 등을 청취했다.
이어 17일 목포 소재 한국섬진흥원에서 열린 ‘한·일 섬 정책 세미나’에 참여했다.
‘한·일 섬 정책세미나’는 양국이 섬 정책을 서로 점검하는 자리로, 지방 및 섬 소멸 문제를 함께 극복하기 위해 마련됐다.
▲ 17일 목포 소재 한국섬진흥원에서 열린 ‘한·일 섬 정책 세미나’에서 일본이도센터 미키 쓰요시 조사연구부장이 이도진흥사례를 발표하고 있다(사진=한국섬진흥원 제공) |
정책세미나는 1부(일본의 섬과 섬 정책)와 2부(한국의 섬과 섬 정책)로 나눠 일본이도진흥정책 및 6개 지역 섬 사례, 한국섬진흥원 주요 연구 사업 및 전남도·경남도·목포시의 정책사례 등으로 꾸며졌다.
일본방문단은 18일-19일 여수시청과 낭도, 금오도, 안도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 한국섬진흥원은 일본방문단에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참여를 독려하고 적극 협조해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 17일 목포 소재 한국섬진흥원에서 열린 ‘한·일 섬 정책 세미나’에 참여한 한일 양국대표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한국섬진흥원 제공) |
이어 20일 제주를 찾아 환경자원순환센터와 우도를 방문, 담수화시설 재생사업과 청정우도 캠페인 등을 청취한다. 21일은 일본으로 복귀하는 일정이다.
▲ 17일 목포 소재 한국섬진흥원에서 열린 ‘한·일 섬 정책 세미나’가 열렸다. 사진 왼쪽부터 박홍률 목포시장, 오동호 한국섬진흥원장, 시라카와 히로카즈 이키시장.(사진=한국섬진흥원 제공) |
오동호 한국섬진흥원장은 “지난해 한국섬진흥원이 일본을 방문해 많은 것을 얻어간 것처럼 이번 방문단에서도 의미 있는 시간이었으면 한다”면서 “한·일간 섬 교류를 본격 시작함으로써 양국이 지속가능한 섬 발전을 이루길 바란다”고 말했다.
[ⓒ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